add 7-3 readme ko translation

pull/39/head
minwook-shin 4 years ago
parent 4b8585bde8
commit b7fa2ef72a

@ -6,15 +6,15 @@
### 소개 ### 소개
At the core of every web application there's *data*. Data can take many forms, but its main purpose is always to display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web apps becoming increasingly interactive and complex, how the user accesses and interacts with information is now a key part of web development.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에는 *data*가 있습니다. 데이터는 다양한 폼을 가질 수 있지만, 기본적인 목적은 항상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웹 앱이 점점 더 상호 작용하고 복잡해지면서, 사용자가 정보에 접근하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은 이제 웹 개발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In this lesson, we'll see how to fetch data from a server asynchronously, and use this data to display information on a web page without reloading the HTML. 이 강의에서는, 서버에서 비동기로 데이터를 가져오고, 이 데이터로 HTML을 다시 불러오지 않으면서 웹 페이지에 보여주는 방법으로 살펴봅니다.
### 준비물 ### 준비물
You need to have built the [Login and Registration Form](../2-forms/README.md) part of the web app for this lesson. You also need to install [Node.js](https://nodejs.org) and [run the server API](../api/README.md) locally so you get account data. 이 강의에서 웹 앱의 [Login and Registration Form](../2-forms/README.md) 부분을 작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계정 데이터를 가져오려면 [Node.js](https://nodejs.org)와 [run the server API](../api/README.md)를 로컬에 설치해야 합니다.
You can test that the server is running properly by executing this command in a terminal: 터미널에서 이 명령을 실행하여 서버가 실행되고 있는지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sh ```sh
curl http://localhost:5000/api curl http://localhost:5000/api
@ -25,21 +25,21 @@ curl http://localhost:5000/api
## AJAX와 데이터 가져오기 ## AJAX와 데이터 가져오기
Traditional web sites update the content displayed when the user click on a link or submit data using a form, by reloading the full HTML page. Every time new data needs to be loaded, the web server returns a brand new HTML page that needs to be processed by the browser, interrupting the current user action and limiting interactions during the reload. This workflow is also called a *Multi-Page Application* or *MPA*. 기존 웹 사이트는 모든 HTML 페이지를 다시 불러오기 위해서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하거나 폼으로 데이터를 제출할 때 표시되는 콘텐츠를 갱신합니다. 새로운 데이터를 불러와야 할 때마다, 웹 서버는 브라우저에서 처리하는 새 HTML 페이지를 반환하여, 현재 사용자의 액션을 중단하고 다시 불러오는 동안 상호 작용을 제한합니다. 이 과정을 *Multi-Page Application* 혹은 *MPA*라고 합니다.
![Update workflow in a multi-page application](./images/mpa.png) ![Update workflow in a multi-page application](./images/mpa.png)
When web applications started to become more complex and interactive, a new technique called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https://en.wikipedia.org/wiki/Ajax_(programming)) emerged. This technique allows web apps to send and retrieve data from a server asynchronously using JavaScript, without having to reload the HTML page, resulting in faster updates and smoother user interactions. When new data is received from the server, the current HTML page can also be updated with JavaScript using the [DOM](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Document_Object_Model) API. Over time, this approach has evolved into what we is now called a [*Single-Page Application* or *SPA*](https://en.wikipedia.org/wiki/Single-page_application). 웹 애플리케이션이 더 복잡해지고 상호 작용하기 시작하면서,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https://en.wikipedia.org/wiki/Ajax_(programming))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나타났습니다. 이 기술을 쓰면 웹 앱은 HTML 페이지를 다시 불러오지 않고, JavaScript를 사용하여 비동기로 서버에서 데이터를 보내고 찾을 수 있으므로, 갱신 속도가 빨라지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부드러워집니다. 서버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받으면, [DOM](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Document_Object_Model) API로 현재 HTML 페이지를 JavaScript로 갱신할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방식은 이제 [*Single-Page Application* or *SPA*](https://en.wikipedia.org/wiki/Single-page_application)라는 것으로 발전했습니다.
![Update workflow in a single-page application](./images/spa.png) ![Update workflow in a single-page application](./images/spa.png)
When AJAX was first introduced, the only API available to fetch data asynchronously was [`XMLHttpReques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XMLHttpRequest/Using_XMLHttpRequest). But modern browsers now also implement the more convenient and powerful [`Fetch` API](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Fetch_API), which use promises and is better suited to manipulate JSON data. AJAX가 처음 소개되었을 때, 데이터를 비동기로 가져올 유일한 API는 [`XMLHttpReques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XMLHttpRequest/Using_XMLHttpRequest)였습니다. 그러나 모던 브라우저는 이제 promises를 사용하고 JSON 데이터를 조작할 때 적당하며, 더 편리하고 강력한 [`Fetch` API](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Fetch_API)도 구현합니다.
> While all modern browsers supports the `Fetch API`, if you want your web application to work on legacy or old browsers it's always a good idea to check the [compatibility table on caniuse.com](https://caniuse.com/fetch) first. > 모든 모던 브라우저는 `Fetch API`를 지원하지만, 웹 애플리케이션이 레거시 혹은 옛날 브라우저에서 작동하도록 하려면 항상 [compatibility table on caniuse.com](https://caniuse.com/fetch)를 먼저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작업 ### 작업
In [the previous lesson](../2-forms/README.md) we implented the registration form to create an account. We'll now add code to login using an existing account, and fetch its data. Open the `app.js` file and add a new `login` function: [이전 강의](../2-forms/README.md)에서는 계정을 만들기 위해 가입 폼을 구현했습니다. 이제 이미 있는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코드를 추가하고, 데이터를 가져올 것 입니다. `app.js` 파일을 열고 새로운 `login` 함수를 추가합니다:
```js ```js
async function login() { async function login() {
@ -48,9 +48,9 @@ async function login() {
} }
``` ```
Here we start by retrieving the form element with `getElementById()`, and then we get the username from the input with `loginForm.user.value`. Every form control can be accessed by its name (set in the HTML using the `name` attribute) as a property of the form. 여기서 `getElementById()`로 폼 요소를 찾는 것으로 시작한 다음, `loginForm.user.value`로 입력에서 username을 가져옵니다. 모든 폼 컨트롤은 폼의 속성에 있는 이름(HTML에서 `name`속성으로 설정)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In a similar fashion to what we did for the registration, we'll create another function to perform a server request, but this time for retrieving the account data: 가입을 위해서 작업했던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서버 요청하는 또 다른 함수를 만들지만, 이번에는 계정 데이터를 찾기 위한 것입니다:
```js ```js
async function getAccount(user) { async function getAccount(user) {
@ -63,11 +63,11 @@ async function getAccount(user) {
} }
``` ```
We use the `fetch` API to request the data asynchronously from the server, but this time we don't need any extra parameters other than the URL to call, as we're only querying data. By default, `fetch` create a [`GE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Methods/GET) HTTP request, which is what we are seeking here. 비동기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해서 `fetch` API를 사용하지만, 이번에는 데이터만 쿼리하므로, 호출할 URL 이외 추가 파라미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fetch`는 여기에서 찾는 것처럼 [`GE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Methods/GET) 요청을 생성합니다.
`encodeURIComponent()` is a function that escapes special characters for URL. What possible issues could we possibly have if we do not call this function and use directly the `user` value in the URL? `encodeURIComponent()`는 URL에 대한 특수 문자를 이스케이프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를 호출하지 않고 URL에서 `user` 값을 직접 사용하면 어떤 이슈가 발생할 수 있나요?
Let's now update our `login` function to use `getAccount`: 이제 `getAccount`를 사용하여 `login` 함수를 갱신합니다:
```js ```js
async function login() { async function login() {
@ -84,48 +84,48 @@ async function login() {
} }
``` ```
First, as `getAccount` is an asynchronous function we need to match it with the `await` keyword to wait for the server result. As with any server request, we also have to deal with errors cases. For now we'll only add a log message to display the error, and come back to it layer. 먼저, `getAccount`는 비동기 함수이므로 서버 결과를 기다리려면 `await` 키워드로 맞춰야 합니다. 모든 서버 요청처럼, 오류 케이스도 처리해야 합니다. 지금은 오류를 보여주는 로그 메시지만 추가하고, 이 레이어로 돌아옵니다.
Then we have to store the data somewhere so we can later use it to display the dashboard informations. Since we the `account` variable does not exist yet, we'll create a global variable for it at the top of our file: 그러고 나중에 대시보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도록 데이터를 어딘가 저장해야 합니다. `account` 변수가 아직 없으므로, 파일 상단에 전역 변수를 생성합니다:
```js ```js
let account = null; let account = null;
``` ```
After the user data is saved into a variable we can navigate from the *login* page to the *dashboard* using the `navigate()` function we already have. 사용자 데이터가 변수에 저장되면 이미 있는 `navigate()` 함수를 사용하여 *login* 페이지에서 *dashboard*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Finally, we need to call our `login` function when the login form is submitted by modifying the HTML: 마지막으로, HTML을 수정하여 로그인 폼을 제출할 때마다 `login` 함수를 호출해야 합니다:
```html ```html
<form id="loginForm" action="javascript:login()"> <form id="loginForm" action="javascript:login()">
``` ```
Test that everything is working correctly by registering a new account and trying to login using the same account. 새로운 계정을 가입하고 같은 계정으로 로그인을 시도하여 모두 잘 작동하는지 테스트합니다.
Before moving on to the next part, we can also complete the `register` function by adding this at the bottom of the function: 다음 부분으로 가기 전에, 함수 하단에 다음을 추가하여 `register` 함수를 완성할 수도 있습니다:
```js ```js
account = result; account = result;
navigate('/dashboard'); navigate('/dashboard');
``` ```
Did you know that by default, you can only call server APIs from the *same domain and port* than the web page you are viewing? This is security mechanism enforced by browsers. But wait, our web app is running on `localhost:3000` whereas the server API is running on ` localhost:5000`, why does it work? By using a technique called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CORS) it is possible to perform cross-origin HTTP requests is the server add specials headers to the response, allowing exceptions for specific domains. 기본적으로, 보고있는 웹 페이지에 *동일한 도메인와 포트*에서만 서버 API를 호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나요? 이것은 브라우저에 의해 시행되는 보안 메커니즘입니다. 하지만, 웹 앱은 `localhost:3000`에서 실행되고 서버 API가 `localhost:5000`에서 실행됩니다. 왜 작동할까요?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CORS)라는 기술을 사용하면 서버가 응답에 특별한 헤더를 추가하여 특정 도메인에 대한 예외를 허용하므로, cross-origin HTTP 요청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해 HTML 갱신하기 ##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해 HTML 갱신하기
Now that we have the user data, we have to update the existing HTML to display it. We already now how to retrieve element from the DOM using for example `document.getElementById()`. After you have a base element, here are some APIs you can use to modify it or add child elements to it: 이제 사용자 데이터가 있으므로, 기존 HTML을 갱신해서 보여줘야 합니다. 예시로 `document.getElementById()`를 사용하여 DOM에서 요소를 검색하는 방법은 이미 있습니다. 바탕 요소가 있으면, 수정하거나 하위 요소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API가 있습니다:
- Using the [`textConten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Node/textContent) property you can change the text of an element. Note that changing this values removes all the element's children (if there's any) and replace it with the text provided. As such, it's also an efficient method to remove all children of a given element by assigning an empty string `''` to it. - [`textConten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Node/textContent) 속성을 사용하여 요소의 텍스트를 바꿀 수 있습니다. 이 값을 변경하면 모든 요소의 하위가(있는 경우) 제거되고 주어진 텍스트로 대체됩니다. 따라서, 빈 문자열 `''`을 할당하여 주어진 요소의 모든 하위를 제거하는 효율적인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 Using [`document.createElemen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Document/createElement) along with the [`append()`](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ParentNode/append) method you can create and attach one or more new child elements. - [`document.createElemen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Document/createElement)를 [`append()`](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ParentNode/append)메소드와 함께 사용하면 하나 이상의 새로운 하위 요소를 만들고 붙일 수 있습니다.
Using the [`innerHTML`](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Element/innerHTML) property of an element it's also possible to change its HTML contents, but this one should avoided as it's vulnerable to [cross-site scripting (XS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Glossary/Cross-site_scripting) attacks. 요소의 [`innerHTML`](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Element/innerHTML) 속성을 사용하여 HTML 내용을 바꿀 수 있지만, [cross-site scripting (XS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Glossary/Cross-site_scripting) 공격에 취약하므로 피해야 합니다.
### 작업 ### 작업
Before moving on to the dashboard screen, there's one more thing we should do on the *login* page. Currently, if you try to login with a username that does not exist, a message is shown in the console but for a normal user nothing changes and you don't know what's going on. 대시보드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에, *login* 페이지에서 할 일이 더 있습니다. 현재, 없는 사용자 이름으로 로그인하면, 콘솔에는 메시지가 보이지만 일반적인 사용자의 경우에는 하나도 안 바뀌므로 어떤 일이 나는지 알 수 없습니다.
Let's add a placeholder element in the login form where we can display an error message if needed. A good place would be just before the login `<button>`: 필요한 경우에 오류 메시지를 볼 수 있는 로그인 폼에 placeholder 요소를 추가하겠습니다. 로그인 `<button>` 바로 전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html ```html
... ...
@ -134,9 +134,9 @@ Let's add a placeholder element in the login form where we can display an error
... ...
``` ```
This `<div>` element is empty, meaning that nothing we be displayed on the screen until we add some content to it. We also give it an `id` so we can retrieve it easily with JavaScript. `<div>` 요소는 비어 있으므로, 내용를 더 할 때까지 화면에 아무것도 나오지 않습니다. 또한 JavaScript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id`를 제공합니다.
Go back to the `app.js` file and create a new helper function `updateElement`: `app.js` 파일로 돌아오고 새로운 헬퍼 함수인 `updateElement`를 만듭니다:
```js ```js
function updateElement(id, text) { function updateElement(id, text) {
@ -145,7 +145,7 @@ function updateElement(id, text) {
} }
``` ```
This one is quite straightforward, given an element *id* and *text* it will update the text content of the DOM element with the matching `id`. Let's use this method in place of the previous error message in the `login` function: 이는 매우 간편합니다, *id**text* 요소가 주어지는 순간에 일치하는 `id`로 DOM 요소의 텍스트 내용이 갱신됩니다. `login` 함수의 이전 오류 메시지 대신에 이 방법을 사용하겠습니다:
```js ```js
if (data.error) { if (data.error) {
@ -153,17 +153,17 @@ if (data.error) {
} }
``` ```
Now if you try to login with an invalid account, you should see something like this: 이제 유효하지 않은 계정으로 로그인 시도하면,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
![Screenshot showing the error message displayed during login](./images/login-error.png) ![Screenshot showing the error message displayed during login](./images/login-error.png)
Implement the same behavior for the `register` function errors (don't forget to update the HTML). `register` 함수 오류와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구현합니다 (HTML을 갱신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 대시보드로 정보 출력하기 ## 대시보드로 정보 출력하기
Using the same techniques we've just seen we'll also take care of displaying the account information on the the dashboard page. 방금 전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대시보드 페이지에서 계정 정보를 보여주는 작업도 합니다.
This is what an account object received from the server looks like: 서버에서 받은 계정 객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json ```json
{ {
@ -179,11 +179,11 @@ This is what an account object received from the server looks like:
} }
``` ```
> Note: to make your life easier, you can use the pre-existing `test` account that's already populated with data. > Note: 더 쉽게 진행하기 위해서, 이미 데이터로 채워진 기존 `test` 계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작업 ### 작업
Let's start by replacing the "Balance" section in the HTML to add placeholder elements: HTML의 "Balance" 섹션을 교체하고 placeholder 요소를 추가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html ```html
<section> <section>
@ -191,15 +191,15 @@ Let's start by replacing the "Balance" section in the HTML to add placeholder el
</section> </section>
``` ```
We'll also add a new section just below to display the account description: 또한 바로 밑에 새로운 섹션을 추가하여 계정 설명을 출력합니다:
```html ```html
<section id="description" aria-label="Account description"></section> <section id="description" aria-label="Account description"></section>
``` ```
As there is no text label here to explain what this section is about, we use the `aria-label` attribute to give an accessibility hint. Learn more about [ARIA attribute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ccessibility/ARIA) to make sure your web apps are accessible to everyone. 이 섹션의 내용을 설명하는 텍스트 라벨이 없기 때문에, `aria-label` 속성을 사용하여 접근성 힌트를 줍니다. 모두 웹 앱에 접근할 수 있도록 [ARIA attribute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ccessibility/ARIA)에 대해 더 알아보세요.
Next, we'll create a new function in `app.js` to fill in the placeholder: 다음으로, `app.js`에 placeholder를 채우기 위해서 새로운 함수를 만듭니다:
```js ```js
function updateDashboard() { function updateDashboard() {
@ -213,13 +213,13 @@ function updateDashboard() {
} }
``` ```
First, we check that we have the account data we need before going futher. Then we use the `updateElement()` function we created earlier to update the HTML. 먼저, 나아가기 전 필요한 계정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러고 일찍 만들어 둔 `updateElement()` 함수로 HTML을 업데이트합니다.
> To make the balance display prettier, we use the method [`toFixed(2)`](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Number/toFixed) to force displaying the value with 2 digits after the decimal point. > 잔액을 더 예쁘게 보이게 만드려면, [`toFixed(2)`](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Number/toFixed) 방법으로 소수점 이하 2자리 값을 강제로 출력합니다.
Now we need to call our `updateDashboard()` function everytime the dashboard is loaded. If you already finished the [lesson 1 assignment](../1-template-route/assignment.md) this should be straighforward, otherwise you can use the following implementation. 이제 대시보드를 불러올 때마다 `updateDashboard()` 함수를 호출해야 합니다. 이미 [lesson 1 assignment](../1-template-route/assignment.md)를 완료했다면 간단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이미 구현된 내용으로 쓸 수 있습니다.
Add this code to the end of the `updateRoute()` function: `updateRoute()` 함수 끝에 이 코드를 추가합니다:
```js ```js
if (typeof route.init === 'function') { if (typeof route.init === 'function') {
@ -227,7 +227,7 @@ if (typeof route.init === 'function') {
} }
``` ```
And update the routes definition with: 그리고 라우터 정의를 업데이트합니다:
```js ```js
const routes = { const routes = {
@ -236,17 +236,17 @@ const routes = {
}; };
``` ```
With this change, everytime the dashboard page is displayed then the function `updateDashboard()` is called. After a login, you should then be able to see the account balance, currency and description. 이 변경점으로, 대시보드 페이지가 나올 때마다 `updateDashboard()` 함수가 호출됩니다. 로그인하고나서, 계정 잔액, 통화와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 HTML 템플릿으로 동적 테이블 row 만들기 ## HTML 템플릿으로 동적 테이블 row 만들기
In the [first lesson](../1-template-route/README.md) we used HTML template along with the [`appendChild()`](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Node/appendChild) method to implement the navigation in our app. Templates can also be smaller and used to dynamically populate repetitive parts of a page. [first lesson](../1-template-route/README.md)에서는 HTML 템플릿과 [`appendChild()`](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Node/appendChild) 메소드로 앱의 탐색을 구현했습니다. 템플릿은 더 작아 질 수 있고 페이지의 반복적인 부분을 동적으로 채우는 데 쓸 수 있습니다.
We'll use a similar approach to display the list of transactions in the HTML table. 유사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HTML 테이블에 트랜잭션 목록을 출력합니다.
### 작업 ### 작업
Add a new template in the HTML `<body>`: HTML `<body>`에서 새로운 템플릿을 추가합니다:
```html ```html
<template id="transaction"> <template id="transaction">
@ -258,15 +258,15 @@ Add a new template in the HTML `<body>`:
</template> </template>
``` ```
This template represents a single table row, with the 3 columns we want to populate: *date*, *object* and *amount* of a transaction. 이 템플릿은 하나의 테이블 행을 나타내고 있으며, 앞으로 채워나갈 3 개의 열이 있습니다: *date*, *object* 그리고 트랜젝션의 *amount*.
Then, add this `id` property to the `<tbody>` element of the table within the dashboard template to make it easier to find using JavaScript: 그러고, 이 `id` 속성을 대시보드 템플릿 내 테이블의 `<tbody>` 요소에 추가하여 JavaScript로 쉽게 찾을 수 있게 작성합니다:
```html ```html
<tbody id="transactions"></tbody> <tbody id="transactions"></tbody>
``` ```
Our HTML is ready, let's switch to JavaScript code and create a new function `createTransactionRow`: HTML은 준비되었습니다, JavaScript 코드로 전환하고 새로운 함수 `createTransactionRow`를 만들겠습니다:
```js ```js
function createTransactionRow(transaction) { function createTransactionRow(transaction) {
@ -280,7 +280,7 @@ function createTransactionRow(transaction) {
} }
``` ```
This function does exactly what its names implies: using the template we created earlier, it create a new table row and fill in its contents using transaction data. We'll use this to in our `updateDashboard()` function to populate the table: 이 함수는 이름이 의미한대로 정확히 수행합니다: 이전에 만든 템플릿을 사용하면서, 새 테이블 행을 만들고 트랜잭션 데이터로 내용을 채웁니다. `updateDashboard()` 함수에서 이것으로 테이블을 채울 것입니다:
```js ```js
const transactionsRows = document.createDocumentFragment(); const transactionsRows = document.createDocumentFragment();
@ -291,9 +291,9 @@ for (const transaction of account.transactions) {
updateElement('transactions', transactionsRows); updateElement('transactions', transactionsRows);
``` ```
We use here the method [`document.createDocumentFragmen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Document/createDocumentFragment) that create a new DOM fragment on which we can work, before finally attaching it to our HTML table. 여기서는 새로운 DOM 프래그먼트를 만들 [`document.createDocumentFragment()`](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Document/createDocumentFragment) 메소드로 최종적인 HTML 테이블에 붙입니다.
There's still one more thing we have to do before this code can work, as our `updateElement()` function currently supports text content only. Let's change its code a bit: 현재 `updateElement()` 함수가 텍스트 내용만 지원하므로 이 코드가 실행되기 전에 할 일이 하나 더 있습니다. 코드를 약간 바꿔 보겠습니다:
```js ```js
function updateElement(id, textOrNode) { function updateElement(id, textOrNode) {
@ -303,17 +303,17 @@ function updateElement(id, textOrNode) {
} }
``` ```
We use the [`append()`](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ParentNode/append) method as it allows to attach either text or [DOM Node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Node) to a parent element, which is perfect for all our use cases. [`append()`](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ParentNode/append)] 메소드를 사용하면 상위 요소에 텍스트 혹은 [DOM Node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Node)를 붙일 수 있으므로, 모든 사용 케이스에 적당합니다.
If you try using the `test` account to login, you should now see a transaction list on the dashboard 🎉. `test` 계정을 사용하여 로그인을 해보면, 지금 대시보드에 거래 목록이 보입니다 🎉.
--- ---
## 🚀 도전 ## 🚀 도전
Work together to make the dashboard page look like a real banking app. If you already styled your app, try to use [media querie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CSS/Media_Queries) to create a [responsive design](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Progressive_web_apps/Responsive/responsive_design_building_blocks) working nicely on both desktop and mobile devices. 대시보드 페이지를 실제 은행 앱처럼 보이도록 함께 작업해보세요. 이미 앱 스타일한 경우, [media querie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CSS/Media_Queries)를 사용하여 데스크톱과 모바일 장치 다 잘 작동하는 [responsive design](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Progressive_web_apps/Responsive/responsive_design_building_blocks)으로 만들어보세요.
Here's an example of a styled dashboard page: 여기는 꾸며진 대시보드 페이지의 예시입니다:
![Screenshot of an example result of the dashboard after styling](../images/screen2.png) ![Screenshot of an example result of the dashboard after styling](../images/screen2.png)

Loading…
Cancel
S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