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ent
478a8d7a9f
commit
62d1acaeb8
@ -0,0 +1,395 @@
|
|||||||
|
# ARIMA로 Time series forecasting 하기
|
||||||
|
|
||||||
|
이전 강의에서, time series forecasting에 대해 약간 배웠고 시간대 간격으로 전력 부하의 파동을 보여주는 데이터셋도 불러왔습니다.
|
||||||
|
|
||||||
|
[![Introduction to ARIMA](https://img.youtube.com/vi/IUSk-YDau10/0.jpg)](https://youtu.be/IUSk-YDau10 "Introduction to ARIMA")
|
||||||
|
|
||||||
|
> 🎥 영상을 보려면 이미지 클릭: A brief introduction to ARIMA models. The example is done in R, but the concepts are universal.
|
||||||
|
|
||||||
|
## [강의 전 퀴즈](https://jolly-sea-0a877260f.azurestaticapps.net/quiz/43/)
|
||||||
|
|
||||||
|
## 소개
|
||||||
|
|
||||||
|
이 강의에서, [ARIMA: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https://wikipedia.org/wiki/Autoregressive_integrated_moving_average)로 모델을 만드는 상세한 방식을 살펴볼 예정입니다. ARIMA 모델은 [non-stationarity](https://wikipedia.org/wiki/Stationary_process)를 보여주는 데이터에 특히 알맞습니다.
|
||||||
|
|
||||||
|
## 일반적인 컨셉
|
||||||
|
|
||||||
|
ARIMA로 작업하려고 한다면, 일부 컨셉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
||||||
|
|
||||||
|
- 🎓 **Stationarity**. 통계 컨텍스트에서, stationarity는 시간이 지나면서 분포가 변경되지 않는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Non-stationary 데이터라면, 분석하기 위해서 변환이 필요한 트랜드로 파동을 보여줍니다. 예시로, Seasonality는, 데이터에 파동을 나타나게 할 수 있고 'seasonal-differencing' 처리로 뺄 수 있습니다.
|
||||||
|
|
||||||
|
- 🎓 **[Differencing](https://wikipedia.org/wiki/Autoregressive_integrated_moving_average#Differencing)**. Differencing 데이터는, 통계 컨텍스트에서 다시 언급하자면, non-stationary 데이터를 non-constant 트랜드로 지워서 움직이지 않게 변형시키는 프로세스를 나타냅니다. "Differencing removes the changes in the level of a time series, eliminating trend and seasonality and consequently stabilizing the mean of the time series." [Paper by Shixiong et al](https://arxiv.org/abs/1904.07632)
|
||||||
|
|
||||||
|
## Time series의 컨텍스트에서 ARIMA
|
||||||
|
|
||||||
|
ARIMA의 파트를 언팩해서 어떻게 time series 모델을 만들고 예측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지 더 이해합니다.
|
||||||
|
|
||||||
|
- **AR - for AutoRegressive**. 이름에서 추측하듯, Autoregressive 모델은, 데이터에서 이전 값을 분석하고 가정하기 위해서 시간을 'back' 합니다. 이전 값은 'lags'이라고 불립니다. 예시로 연필의 월별 판매를 보여주는 데이터가 존재합니다. 각 월별 판매 총액은 데이터셋에서 'evolving variable'으로 생각됩니다. 이 모델은 "evolving variable of interest is regressed on its own lagged (i.e., prior) values."로 만들어졌습니다. [wikipedia](https://wikipedia.org/wiki/Autoregressive_integrated_moving_average)
|
||||||
|
|
||||||
|
- **I - for Integrated**. 비슷한 'ARMA' 모델과 다르게, ARIMA의 'I'는 *[integrated](https://wikipedia.org/wiki/Order_of_integration)* 측면을 나타냅니다. non-stationarity를 제거하기 위해서 differencing 단계가 적용될 때 데이터는 'integrated'됩니다.
|
||||||
|
|
||||||
|
- **MA - for Moving Average**. 이 모델의 [moving-average](https://wikipedia.org/wiki/Moving-average_model) 측면에서 lags의 현재와 과거 값을 지켜봐서 결정하는 출력 변수를 나타냅니다.
|
||||||
|
|
||||||
|
결론: ARIMA는 가능한 근접하게 time series 데이터의 스페셜 폼에 맞는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
||||||
|
|
||||||
|
## 연습 - ARIMA 모델 만들기
|
||||||
|
|
||||||
|
이 강의의 _/working_ 폴더를 열고 _notebook.ipynb_ 파일을 찾습니다.
|
||||||
|
|
||||||
|
1. 노트북을 실행해서 `statsmodels` Python 라이브러리를 불러옵니다; ARIMA 모델이 필요할 예정입니다.
|
||||||
|
|
||||||
|
1.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불러옵니다
|
||||||
|
|
||||||
|
1. 지금부터, 데이터를 plot할 때 유용한 여러 라이브러리를 불러옵니다:
|
||||||
|
|
||||||
|
```python
|
||||||
|
import os
|
||||||
|
import warnings
|
||||||
|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
|
import numpy as np
|
||||||
|
import pandas as pd
|
||||||
|
import datetime as dt
|
||||||
|
import math
|
||||||
|
|
||||||
|
from pandas.plotting import autocorrelation_plot
|
||||||
|
from statsmodels.tsa.statespace.sarimax import SARIMAX
|
||||||
|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MinMaxScaler
|
||||||
|
from common.utils import load_data, mape
|
||||||
|
from IPython.display import Image
|
||||||
|
|
||||||
|
%matplotlib inline
|
||||||
|
pd.options.display.float_format = '{:,.2f}'.format
|
||||||
|
np.set_printoptions(precision=2)
|
||||||
|
warnings.filterwarnings("ignore") # specify to ignore warning messages
|
||||||
|
```
|
||||||
|
|
||||||
|
1. `/data/energy.csv` 파일의 데이터를 Pandas 데이터프레임으로 불러오고 찾아봅니다:
|
||||||
|
|
||||||
|
```python
|
||||||
|
energy = load_data('./data')[['load']]
|
||||||
|
energy.head(10)
|
||||||
|
```
|
||||||
|
|
||||||
|
1. January 2012부터 December 2014까지 유효한 에너지 데이터를 모두 plot합니다. 지난 강의에서 보았던 데이터라서 놀랍지 않습니다:
|
||||||
|
|
||||||
|
```python
|
||||||
|
energy.plot(y='load', subplots=True, figsize=(15, 8), fontsize=12)
|
||||||
|
plt.xlabel('timestamp', fontsize=12)
|
||||||
|
plt.ylabel('load', fontsize=12)
|
||||||
|
plt.show()
|
||||||
|
```
|
||||||
|
|
||||||
|
지금부터, 모델을 만들어봅시다!
|
||||||
|
|
||||||
|
### 훈련과 테스트 데이터셋 만들기
|
||||||
|
|
||||||
|
이제 데이터를 불러왔으면, 훈련과 테스트 셋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훈련 셋으로 모델을 훈련할 수 있습니다. 평소처럼, 모델 훈련이 끝나면, 데이터셋으로 정확도를 평가합니다. 모델이 미래에서 정보를 못 얻도록 테스트셋이 훈련 셋의 이후 기간을 커버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
||||||
|
1. 2014년 September 1 부터 October 31 까지 2개월간 훈련 셋에 할당합니다. 테스트셋은 2014년 November 1 부터 December 31 까지 2개월간 포함합니다:
|
||||||
|
|
||||||
|
```python
|
||||||
|
train_start_dt = '2014-11-01 00:00:00'
|
||||||
|
test_start_dt = '2014-12-30 00:00:00'
|
||||||
|
```
|
||||||
|
|
||||||
|
이 데이터는 에너지의 일일 소비 수량을 반영하므로, 강한 계절적 패턴이 있지만, 소비 수량은 최근 날짜와 매우 비슷합니다.
|
||||||
|
|
||||||
|
1. 다른 점을 시각화합니다:
|
||||||
|
|
||||||
|
```python
|
||||||
|
energy[(energy.index < test_start_dt) & (energy.index >= train_start_dt)][['load']].rename(columns={'load':'train'}) \
|
||||||
|
.join(energy[test_start_dt:][['load']].rename(columns={'load':'test'}), how='outer') \
|
||||||
|
.plot(y=['train', 'test'], figsize=(15, 8), fontsize=12)
|
||||||
|
plt.xlabel('timestamp', fontsize=12)
|
||||||
|
plt.ylabel('load', fontsize=12)
|
||||||
|
plt.show()
|
||||||
|
```
|
||||||
|
|
||||||
|
![training and testing data](../images/train-test.png)
|
||||||
|
|
||||||
|
그래서, 데이터를 훈련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대로도 충분해야 합니다.
|
||||||
|
|
||||||
|
> 노트: ARIMA 모델을 fit할 때 사용하는 함수는 fitting하는 동안 in-sample 검증하므로, 검증 데이터를 생략할 예정입니다.
|
||||||
|
|
||||||
|
### 훈련을 위한 데이터 준비하기
|
||||||
|
|
||||||
|
지금부터, 데이터 필터링하고 스케일링한 훈련 데이터를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필요한 시간대와 열만 포함된 데이터셋을 필터링하고, 0,1 간격으로 데이터를 예측하도록 확장합니다.
|
||||||
|
|
||||||
|
1. 세트 별로 앞서 말해둔 기간만 포함하고 날짜가 추가된 'load' 열만 포함해서 원본 데이터셋을 필터링합니다:
|
||||||
|
|
||||||
|
```python
|
||||||
|
train = energy.copy()[(energy.index >= train_start_dt) & (energy.index < test_start_dt)][['load']]
|
||||||
|
test = energy.copy()[energy.index >= test_start_dt][['load']]
|
||||||
|
|
||||||
|
print('Training data shape: ', train.shape)
|
||||||
|
print('Test data shape: ', test.shape)
|
||||||
|
```
|
||||||
|
|
||||||
|
데이터의 모양을 볼 수 있습니다:
|
||||||
|
|
||||||
|
```output
|
||||||
|
Training data shape: (1416, 1)
|
||||||
|
Test data shape: (48, 1)
|
||||||
|
```
|
||||||
|
|
||||||
|
1. (0, 1) 범위로 데이터를 스케일링합니다:
|
||||||
|
|
||||||
|
```python
|
||||||
|
scaler = MinMaxScaler()
|
||||||
|
train['load'] = scaler.fit_transform(train)
|
||||||
|
train.head(10)
|
||||||
|
```
|
||||||
|
|
||||||
|
1. 원본 vs. 스케일된 데이터를 시각화합니다:
|
||||||
|
|
||||||
|
```python
|
||||||
|
energy[(energy.index >= train_start_dt) & (energy.index < test_start_dt)][['load']].rename(columns={'load':'original load'}).plot.hist(bins=100, fontsize=12)
|
||||||
|
train.rename(columns={'load':'scaled load'}).plot.hist(bins=100, fontsize=12)
|
||||||
|
plt.show()
|
||||||
|
```
|
||||||
|
|
||||||
|
![original](../images/original.png)
|
||||||
|
|
||||||
|
> 원본 데이터
|
||||||
|
|
||||||
|
![scaled](../images/scaled.png)
|
||||||
|
|
||||||
|
> 스케일된 데이터
|
||||||
|
|
||||||
|
1. 지금부터 스케일된 데이터를 보정했으므로, 테스트 데이터로 스케일할 수 있습니다:
|
||||||
|
|
||||||
|
```python
|
||||||
|
test['load'] = scaler.transform(test)
|
||||||
|
test.head()
|
||||||
|
```
|
||||||
|
|
||||||
|
### ARIMA 구현하기
|
||||||
|
|
||||||
|
ARIMA를 구현할 시간입니다! 미리 설치해둔 `statsmodels` 라이브러리를 지금 사용하겠습니다.
|
||||||
|
|
||||||
|
이제 다음 몇 단계가 필요합니다
|
||||||
|
|
||||||
|
1. `SARIMAX()`을 불러서 데이터를 정의하고 모델 파라미터를 전달합니다: p, d, 그리고 q 파라미터와, P, D, 그리고 Q 파라미터.
|
||||||
|
2. fit() 함수를 불러서 훈련 데이터을 위한 모델을 준비합니다.
|
||||||
|
3. `forecast()` 함수를 부르고 예측할 단계 숫자를 (`horizon`) 지정해서 예측합니다.
|
||||||
|
|
||||||
|
> 🎓 모든 파라미터는 무엇을 위해서 있나요? ARIMA 모델에 time series의 주요 측면을 모델링 도울 때 사용하는 3개 파라미터가 있습니다: seasonality, trend, 그리고 noise. 파라미터는 이렇습니다:
|
||||||
|
|
||||||
|
`p`: *past* 값을 합치는, 모델의 auto-regressive 측면과 관련있는 파라미터입니다.
|
||||||
|
`d`: time series에 적용할 *differencing* (🎓 differencing을 기억하나요 👆?) 결과에 영향받는, 모델의 통합 파트와 관련있는 파라미터입니다.
|
||||||
|
`q`: 모델의 moving-average 파트와 관련있는 파라미터입니다.
|
||||||
|
|
||||||
|
> 노트: 데이터에 - 이러한 것처럼 - 계절적 측면이 있다면, seasonal ARIMA 모델 (SARIMA)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케이스에는 다른 파라미터 셋을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P`, `D`와, `Q`는 `p`, `d`와, `q`처럼 같은 집단이라는 점을 설명하지만, 모델의 계절적 컴포넌트에 대응합니다.
|
||||||
|
|
||||||
|
1. 선호하는 horizon 값을 세팅하며 시작합니다. 3시간 동안 시도해봅시다:
|
||||||
|
|
||||||
|
```python
|
||||||
|
# Specify the number of steps to forecast ahead
|
||||||
|
HORIZON = 3
|
||||||
|
print('Forecasting horizon:', HORIZON, 'hours')
|
||||||
|
```
|
||||||
|
|
||||||
|
ARIMA 파라미터의 최적 값을 선택하는 것은 다소 주관적이고 시간이 많이 지나므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pyramid` library](https://alkaline-ml.com/pmdarima/0.9.0/modules/generated/pyramid.arima.auto_arima.html)에서 `auto_arima()` 함수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
|
|
||||||
|
1. 지금 당장 좋은 모델을 찾고자 약간 수동으로 선택하려고 합니다.
|
||||||
|
|
||||||
|
```python
|
||||||
|
order = (4, 1, 0)
|
||||||
|
seasonal_order = (1, 1, 0, 24)
|
||||||
|
|
||||||
|
model = SARIMAX(endog=train, order=order, seasonal_order=seasonal_order)
|
||||||
|
results = model.fit()
|
||||||
|
|
||||||
|
print(results.summary())
|
||||||
|
```
|
||||||
|
|
||||||
|
결과 테이블이 출력되었습니다.
|
||||||
|
|
||||||
|
첫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지금부터 평가하는 방식을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
||||||
|
|
||||||
|
### 모델 평가하기
|
||||||
|
|
||||||
|
모델을 평가하려면, `walk forward` 검증이라 불리는 것을 할 수 있습니다. 연습에서, time series 모델은 새로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순간마다 다시-훈련하고 있습니다. 모델은 각 time step마다 최적 예측을 하게 됩니다.
|
||||||
|
|
||||||
|
이 기술로 time series의 초반부터 시작해서, 훈련 데이터셋으로 모델을 훈련합니다. 다음 time step에서 예측하게 됩니다. 예측은 알려진 값을 기반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훈련 셋은 알려진 값을 포함해서 확장하고 프로세스가 반복하게 됩니다.
|
||||||
|
|
||||||
|
> 노트: 세트의 초반부터 관측치를 지울 수 있는, 훈련 셋에서 새로운 관측치를 추가할 때마다 효과적인 훈련을 위해 훈련 셋 window를 고정해서 유지해야 합니다.
|
||||||
|
|
||||||
|
이 프로세스는 실전에서 모델이 어떻게 할 지에 대해서 강하게 추정하도록 제공합니다. 그러나, 많은 모델을 만들면 계산 비용이 생깁니다. 이는 데이터가 작거나 모델이 간단하지만, 스케일에 이슈가 있을 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
||||||
|
|
||||||
|
Walk-forward 검사는 time series 모델 평가의 최적 표준이고 이 프로젝트에 추천됩니다.
|
||||||
|
|
||||||
|
1. 먼저, 각자 HORIZON 단계에 테스트 데이터 포인트를 만듭니다.
|
||||||
|
|
||||||
|
```python
|
||||||
|
test_shifted = test.copy()
|
||||||
|
|
||||||
|
for t in range(1, HORIZON):
|
||||||
|
test_shifted['load+'+str(t)] = test_shifted['load'].shift(-t, freq='H')
|
||||||
|
|
||||||
|
test_shifted = test_shifted.dropna(how='any')
|
||||||
|
test_shifted.head(5)
|
||||||
|
```
|
||||||
|
|
||||||
|
| | | load | load+1 | load+2 |
|
||||||
|
| ---------- | -------- | ---- | ------ | ------ |
|
||||||
|
| 2014-12-30 | 00:00:00 | 0.33 | 0.29 | 0.27 |
|
||||||
|
| 2014-12-30 | 01:00:00 | 0.29 | 0.27 | 0.27 |
|
||||||
|
| 2014-12-30 | 02:00:00 | 0.27 | 0.27 | 0.30 |
|
||||||
|
| 2014-12-30 | 03:00:00 | 0.27 | 0.30 | 0.41 |
|
||||||
|
| 2014-12-30 | 04:00:00 | 0.30 | 0.41 | 0.57 |
|
||||||
|
|
||||||
|
데이터는 horizon 포인트에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합니다.
|
||||||
|
|
||||||
|
1. 테스트 데이터 길이의 크기로 반복해서 sliding window 방식으로 테스트 데이터를 예측합니다:
|
||||||
|
|
||||||
|
```python
|
||||||
|
%%time
|
||||||
|
training_window = 720 # dedicate 30 days (720 hours) for training
|
||||||
|
|
||||||
|
train_ts = train['load']
|
||||||
|
test_ts = test_shifted
|
||||||
|
|
||||||
|
history = [x for x in train_ts]
|
||||||
|
history = history[(-training_window):]
|
||||||
|
|
||||||
|
predictions = list()
|
||||||
|
|
||||||
|
order = (2, 1, 0)
|
||||||
|
seasonal_order = (1, 1, 0, 24)
|
||||||
|
|
||||||
|
for t in range(test_ts.shape[0]):
|
||||||
|
model = SARIMAX(endog=history, order=order, seasonal_order=seasonal_order)
|
||||||
|
model_fit = model.fit()
|
||||||
|
yhat = model_fit.forecast(steps = HORIZON)
|
||||||
|
predictions.append(yhat)
|
||||||
|
obs = list(test_ts.iloc[t])
|
||||||
|
# move the training window
|
||||||
|
history.append(obs[0])
|
||||||
|
history.pop(0)
|
||||||
|
print(test_ts.index[t])
|
||||||
|
print(t+1, ': predicted =', yhat, 'expected =', obs)
|
||||||
|
```
|
||||||
|
|
||||||
|
진행하고 있는 훈련을 볼 수 있습니다:
|
||||||
|
|
||||||
|
```output
|
||||||
|
2014-12-30 00:00:00
|
||||||
|
1 : predicted = [0.32 0.29 0.28] expected = [0.32945389435989236, 0.2900626678603402, 0.2739480752014323]
|
||||||
|
|
||||||
|
2014-12-30 01:00:00
|
||||||
|
2 : predicted = [0.3 0.29 0.3 ] expected = [0.2900626678603402, 0.2739480752014323, 0.26812891674127126]
|
||||||
|
|
||||||
|
2014-12-30 02:00:00
|
||||||
|
3 : predicted = [0.27 0.28 0.32] expected = [0.2739480752014323, 0.26812891674127126, 0.3025962399283795]
|
||||||
|
```
|
||||||
|
|
||||||
|
1. 예측과 실제 부하를 비교합니다:
|
||||||
|
|
||||||
|
```python
|
||||||
|
eval_df = pd.DataFrame(predictions, columns=['t+'+str(t) for t in range(1, HORIZON+1)])
|
||||||
|
eval_df['timestamp'] = test.index[0:len(test.index)-HORIZON+1]
|
||||||
|
eval_df = pd.melt(eval_df, id_vars='timestamp', value_name='prediction', var_name='h')
|
||||||
|
eval_df['actual'] = np.array(np.transpose(test_ts)).ravel()
|
||||||
|
eval_df[['prediction', 'actual']] = scaler.inverse_transform(eval_df[['prediction', 'actual']])
|
||||||
|
eval_df.head()
|
||||||
|
```
|
||||||
|
|
||||||
|
```output
|
||||||
|
| | | timestamp | h | prediction | actual |
|
||||||
|
| --- | ---------- | --------- | --- | ---------- | -------- |
|
||||||
|
| 0 | 2014-12-30 | 00:00:00 | t+1 | 3,008.74 | 3,023.00 |
|
||||||
|
| 1 | 2014-12-30 | 01:00:00 | t+1 | 2,955.53 | 2,935.00 |
|
||||||
|
| 2 | 2014-12-30 | 02:00:00 | t+1 | 2,900.17 | 2,899.00 |
|
||||||
|
| 3 | 2014-12-30 | 03:00:00 | t+1 | 2,917.69 | 2,886.00 |
|
||||||
|
| 4 | 2014-12-30 | 04:00:00 | t+1 | 2,946.99 | 2,963.00 |
|
||||||
|
```
|
||||||
|
|
||||||
|
실제 부하와 비교해서, 시간당 데이터의 예측을 관찰해봅니다. 어느정도 정확한가요?
|
||||||
|
|
||||||
|
### 모델 정확도 확인하기
|
||||||
|
|
||||||
|
모든 예측에서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으로 테스트해서 모델의 정확도를 확인해봅니다.
|
||||||
|
|
||||||
|
> **🧮 Show me the math**
|
||||||
|
>
|
||||||
|
> ![MAPE](../images/mape.png)
|
||||||
|
>
|
||||||
|
> [MAPE](https://www.linkedin.com/pulse/what-mape-mad-msd-time-series-allameh-statistics/)은 다음 공식에서 정의된 비율로 정확도를 예측해서 보여주도록 사용됩니다. actual<sub>t</sub> 과 predicted<sub>t</sub> 사이의 차이점을 actual<sub>t</sub>로 나누게 됩니다. "The absolute value in this calculation is summed for every forecasted point in time and divided by the number of fitted points n." [wikipedia](https://wikipedia.org/wiki/Mean_absolute_percentage_error)
|
||||||
|
|
||||||
|
1. 코드로 방정식을 표현합니다:
|
||||||
|
|
||||||
|
```python
|
||||||
|
if(HORIZON > 1):
|
||||||
|
eval_df['APE'] = (eval_df['prediction'] - eval_df['actual']).abs() / eval_df['actual']
|
||||||
|
print(eval_df.groupby('h')['APE'].mean())
|
||||||
|
```
|
||||||
|
|
||||||
|
1. one step MAPE을 계산합니다:
|
||||||
|
|
||||||
|
|
||||||
|
```python
|
||||||
|
print('One step forecast MAPE: ', (mape(eval_df[eval_df['h'] == 't+1']['prediction'], eval_df[eval_df['h'] == 't+1']['actual']))*100, '%')
|
||||||
|
```
|
||||||
|
|
||||||
|
One step forecast MAPE: 0.5570581332313952 %
|
||||||
|
|
||||||
|
1. multi-step forecast MAPE을 출력합니다:
|
||||||
|
|
||||||
|
```python
|
||||||
|
print('Multi-step forecast MAPE: ', mape(eval_df['prediction'], eval_df['actual'])*100, '%')
|
||||||
|
```
|
||||||
|
|
||||||
|
```output
|
||||||
|
Multi-step forecast MAPE: 1.1460048657704118 %
|
||||||
|
```
|
||||||
|
|
||||||
|
최적으로 낮은 숫자가 가장 좋습니다: 10 MAPE이 10% 내려져서 예측되었다고 생각해봅니다.
|
||||||
|
|
||||||
|
1. 하지만 항상, 이 정확도 측정 종류를 시각적으로 보는 것이 더 쉬우므로, plot 해봅니다:
|
||||||
|
|
||||||
|
```python
|
||||||
|
if(HORIZON == 1):
|
||||||
|
## Plotting single step forecast
|
||||||
|
eval_df.plot(x='timestamp', y=['actual', 'prediction'], style=['r', 'b'], figsize=(15, 8))
|
||||||
|
|
||||||
|
else:
|
||||||
|
## Plotting multi step forecast
|
||||||
|
plot_df = eval_df[(eval_df.h=='t+1')][['timestamp', 'actual']]
|
||||||
|
for t in range(1, HORIZON+1):
|
||||||
|
plot_df['t+'+str(t)] = eval_df[(eval_df.h=='t+'+str(t))]['prediction'].values
|
||||||
|
|
||||||
|
fig = plt.figure(figsize=(15, 8))
|
||||||
|
ax = plt.plot(plot_df['timestamp'], plot_df['actual'], color='red', linewidth=4.0)
|
||||||
|
ax = fig.add_subplot(111)
|
||||||
|
for t in range(1, HORIZON+1):
|
||||||
|
x = plot_df['timestamp'][(t-1):]
|
||||||
|
y = plot_df['t+'+str(t)][0:len(x)]
|
||||||
|
ax.plot(x, y, color='blue', linewidth=4*math.pow(.9,t), alpha=math.pow(0.8,t))
|
||||||
|
|
||||||
|
ax.legend(loc='best')
|
||||||
|
|
||||||
|
plt.xlabel('timestamp', fontsize=12)
|
||||||
|
plt.ylabel('load', fontsize=12)
|
||||||
|
plt.show()
|
||||||
|
```
|
||||||
|
|
||||||
|
![a time series model](../images/accuracy.png)
|
||||||
|
|
||||||
|
🏆 괜찮은 정확도로 모델을 보여주는, 매우 좋은 plot 입니다. 잘 마쳤습니다!
|
||||||
|
|
||||||
|
---
|
||||||
|
|
||||||
|
## 🚀 도전
|
||||||
|
|
||||||
|
Time Series 모델의 정확도를 테스트할 방식을 파봅니다. 이 강의에서 MAPE을 다루지만, 사용할 다른 방식이 있나요? 조사해보고 첨언해봅니다.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문서는 [here](https://otexts.com/fpp2/accuracy.html)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
|
|
||||||
|
## [강의 후 퀴즈](https://jolly-sea-0a877260f.azurestaticapps.net/quiz/44/)
|
||||||
|
|
||||||
|
## 검토 & 자기주도 학습
|
||||||
|
|
||||||
|
이 강의에서 ARIMA로 Time Series Forecasting의 기초만 다룹니다. 시간을 내서 [this repository](https://microsoft.github.io/forecasting/)를 파보고 Time Series 모델 만드는 다양한 방식을 배우기 위한 모델 타입도 깊게 알아봅니다.
|
||||||
|
|
||||||
|
## 과제
|
||||||
|
|
||||||
|
[A new ARIMA model](../assignment.md)
|
Loading…
Reference in new issue